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105

부천에서 인천공항 가는 방법, 7001번 버스 변경된 시간표, 첫차 막차 시간 및 요금 부천에서 인천공항을 가기 위해서는 자차를 이용해서 간 뒤 장기 주차장에 차를 맡기고 가는 방법, 그리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대중교통, 그중에서도 버스를 이용해 부천에서 인천공항을 가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천에서 인천공항을 대중교통으로 가기 위해서는 7001번 리무진 버스와 302번 시내버스, 그리고 공항철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공항철도는 시간표가 정확한 편이지만 부천에서 가기 위해서는 최소 2번 이상의 환승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롭습니다. (1호선 혹은 7호선 - 인천 1호선 - 공항철도) 그래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편이 버스인데요. 여기서 302번 버스는 송내역 부근과 부천테크노파크를 거쳐 인천을 통과해 가지만, 아무래도 시내버스이기 때문에 멈추.. 생활정보 2023. 8. 29.
사업자등록증 홈택스 인터넷 발급: 맥북에서 PDF로 저장하는 방법 (feat. 간편 인증) 사업자등록증이 급하게 필요할 때 세무서를 방문하기 참 번거롭죠. 이제는 홈택스 간편 인증을 통해 어디서나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답니다. 맥북으로 홈택스 인터넷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먼저 홈택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홈택스에 접속했다면 먼저 로그인을 해주세요.  저는 맥북을 이용하기 때문에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로그인 창에서 간편 인증 버튼을 눌러주세요. 공동인증서 혹은 아이디 등 다른 방식으로 로그인하실 수도 있으나 본 포스팅에서는 간편 인증을 통해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저는 네이버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아이콘을 누른 뒤 정보를 입력하고 인증 요청을 합니다.   그럼 휴대폰으로 인.. 생활정보 2023. 8. 28.
부천시 거실장 대형폐기물 배출 방법: 인터넷 신고 간편하게 하는 법 부천시 거실장 대형폐기물 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래된 거실장을 바꾸며 기존 거실장을 버리려고 보니 대형 폐기물로 신고한 뒤 내놓아야 하더군요. 기존에는 주민센터에 가서 직접 신고한 뒤 노란 스티커를 가져와 붙여야 했는데요. 이제는 인터넷 신고로 간편하게 대형폐기물 배출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거실장 대형폐기물 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대형폐기물이 뭔가요?2. 부천시 대형폐기물 배출신고 방법3. 거실장 대형폐기물 인터넷 신고하기 1. 대형폐기물이 뭔가요?생활폐기물 중 가전제품, 가구, 운동기구 등 종량제봉투에 담기 어려운 대형 폐기물들을 의미합니다. 소파나 책장, 침대, 피아노 등이 해당되죠. 품목이나 크기에 따라 배출 수수료 가격도 다르니 꼭 확인 후 신고해주셔야 합니다... 생활정보 2023. 8. 25.
의정부에서 인천공항 가는 법, 7200번 버스 시간표, 첫차 막차 시간, 요금 의정부에서 인천공항을 가는 방법으로는 7200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을 가장 추천드립니다. 의정부역에서 1호선을 타고 서울역으로 가서 공항철도를 타는 방법도 있으나, 버스보다 오래 걸리고 환승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7200번 버스의 경우 2023년 8월 16일 자로 업데이트된 사항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그럼 7200번 버스의 시간표와 금액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정부에서 인천공항 가는 버스는 오전 4시 10분에 첫 차가 있으며, 오후 19시가 막차이니 참고 바랍니다. 배차간격은 약 30~40분 정도이네요. 목적지에 따라 금액이 달라져 승차 시 기사님께 목적지를 말한 뒤 카드를 찍고 타시면 됩니다. 인천공항에서 의정부로 돌아올 때는 카드가 아닌 승차권을 미리 구입하고 탑승해야 한다고 .. 생활정보 2023. 8. 25.
여름철 냉방비 절약법 '이것' 꼭 하세요 무더운 여름철을 견디기 위해서는 에어컨과 같이 냉방 시스템이 필수적이죠. 하지만 시원한 집과 함께 냉방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어요. 그렇다고 에어컨을 끄자니 견디기 힘든 더위. 이 포스팅에서는 냉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적인 팁들을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에어컨의 올바른 온도 설정에어컨의 희망 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전력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보통 24°C~26°C 정도로 설정해도 충분합니다. 에어컨은 희망 온도에 도달한 후부터 전기를 적게 사용합니다. 그러니 에어컨 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한 건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여기서 시원해지면 에어컨을 껐다가 더워지면 다시 에어컨을 켜는 방법은 오히려 전기세 절약에 역효과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바람세기를 강풍 > 약풍으로 천천히 줄이기.. 생활정보 2023.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