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건강검진 이월 | 작년 대상자였는데 못 받으셨다구요? 올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담다노 2025. 4. 10.

 

저는 짝수 출생년도여서 2024년에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였는데요. 직장에 다니지 않고 프리랜서를 하다 보니 이래저래 정신없이 살다가 건강검진 예약을 잊어버려서 작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였던 저는 무료 건강검진을 놓쳐버렸습니다.

 

올해는 홀수년도라 어머니의 국가건강검진 예약을 도와드리는 와중에 국가건강검진을 해당하는 년도에 못 받은 미수검자에 한해 이월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신청해 보았고, 정상적으로 접수되어서 저는 짝수년도에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추가로 비용이 드는 것도 아니니 저처럼 작년에 국가건강검진을 못 받으셨다면 올해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셔야 하니까요!

 

 

국가건강검진 간단 요약

국가건강검진은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정부가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무료 건강검진 제도이죠. 건강검진은 증상이 없더라도 병의 조기 발견을 통해 질병을 미리 예방하거나 빠른 치료가 가능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건강검진은 꼭 받으시는 편이 좋습니다. 특히 암이나 만성질환은 초기에 발견할수록 예후가 좋기 때문에 더더욱 받으셔야겠죠.

  • 일반건강검진: 직장가입자, 지역세대주,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20세~64세 의료급여수급권자 (비사무직은 매년, 사무식은 2년에 한 번) 
  • 암 검진: 위암, 폐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 대상에 따라, 나이에 따라 다름

 

주요 검사 항목

  • 기본 검사: 신장, 체중, 혈압, 혈액검사, 소변검사, 시력∙청력 검사, 흉부방사선촬영 등
  • 성∙연령별 검사: B형 간염검사(40세), C형 간염검사(56세), 골다공증(54∙60∙66세 여성) 등

 

 

국가건강검진, 이월이 가능하다고?

전년도에 받지 않은 건강검진은 미수검자 추가신청을 통해 올해 건강검진 대상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수검자 추가신청을 직접 해야만 하는데요. 단, 의료급여수급권자나 외국인의 경우 관할 지사에 방문하거나 고객센터를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본인이 직장가입자라면 일반검진은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게 아니라 소속 사업장을 통해서 추가신청을 해야 하니 참고 바랍니다. 아래 건강검진 이월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월(연기) 신청 방법 3가지

1. 고객센터(1577-1000)로 전화 신청

[고객센터(1577-1000) 연결  9번  문자로 URL 수신  URL 접속 후 본인인증 및 추가신청]

 

2.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https://www.nhis.or.kr)에서 신청

[건강모아 → 나의 건강관리  건강검진 정보  전년도미수검자 추가신청]

 

3. The건강보험 어플을 통한 신청

저는 어플로 간편하게 신청했는데요. 자세한 신청 후기는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국가건강검진 연기 신청, 모바일 앱으로 3분 만에 끝내는 방법 알아보기

 

국가건강검진 이월(연기) 신청, 모바일 앱으로 3분 만에 끝내는 방법

무료 국가건강검진 해당 연도에 건강 검진을 받지 못했을 경우 간단한 절차를 통해 다음 해로 연기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몇 분 만에 신청이 가능해서 전화나 지사 방문 없이 편

all.true-pic.com

 

 

국가건강검진 안 받을 시 불이익

직장가입자의 경우 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에 근로자와 사업주가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는데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서 사업주가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건강검진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겁니다. 때문에 놓치지 않고 미리미리 받는 편이 좋겠죠.

 

근로자 미실시 과태료

  • 1차 위반: 5만 원
  • 2차 위반: 10만 원
  • 3차 위반: 15만 원

 

사업주 미실시 과태료

  • 1차 위반: 10만 원
  • 2차 위반: 20만 원
  • 3차 위반: 30만 원

만약 고의로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았다면 최대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니 미루지 마시고 미리미리 검진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해당 연도에 국가건강검진을 못 받았을 때 이월 신청을 통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생각보다 간편하지 않나요? 올해에는 꼭 미루지 말고 건강검진받으셔서 건강 챙기시길 바랄게요 :)

댓글